수소환원 제철기술 개발

사진 출처: POSCO

본 연구실에서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가장 CO2가 많이 배출되는 제선 공정의 CO2 배출 저감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철강 산업은 전 세계 CO2 배출량의 약 7%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약 1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로에 H2를 취입하는 수소환원 고로에서는 기존의 고로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반응이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철을 만드는 제선 기술은 이미 완성이 되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철광석의 원료가 저품위로 변하면서 예전에 철을 만들던 기술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고, 계속해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철광석은 Fe2O3의 화학식으로 간단히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는 이와 매우 다릅니다. 다양한 광종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양질의 광석이 줄어들면서 철광석에는 Goethite인 FeO(OH)의 함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Gibbsite로 불리는 Al(OH)3가 불순물로 포함된 광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Goethite가 늘어나면 결정수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고, 건조에 의해 다공성 조직이 만들어져 더스트 발생이 증가합니다. Gibbsite에 포함된 Al은 Al2O3가 되어 환원된 철이 맥석성분과 분리될 때 만들어지는 슬래그의 점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업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입니다. 게다가 최종 제품인 철강소재의 취성을 높여주는 광석 중 P의 농도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환원제로 사용하던 탄소를 수소로 대체하게 되면, 그나마 슬래그와 용선의 분리에 도움을 주었던 FeO 성분도 조기에 환원되어 용융 슬래그를 만들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여러 제반 사항의 변화로 인해 제선 기술은 아직도 연구할 것이 무궁무진한 새로운 개척지입니다! 훌륭한 요리사는 재료가 세계 3대 진미가 아니더라도, 재료의 특성을 잘 이해해서 뛰어난 요리를 만들어 냅니다. 화학야금 전공자들도 광석의 특성을 잘 이해해서 뛰어난 철을 만들어 내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광석의 특징을 이해하여 새로운 가공원료(소결광, HCI, LRI 등)를 개발하고, 반응 특성을 이해해서 조업 성능을 높여주는 신개념 공정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Completed Projects

사회 안전 확보를 위한 700MPa급 철근 활용 내진용 철근콘크리트 개발
9 mins
Digital Twin 활용 Dream Fab Pilot 검증을 위한 컨설팅
LG에너지솔루션 2022~2023
FINEX 용선 중 Si 이행거동 예측 기술 개발
포스코 2020~2023
Ti계 임플란트 항균코팅 설계: 3D 프린팅의 소프트웨어 최적화 기초연구
한국연구재단 2020~2022
용강 계면장력 변화에 따른 기포/개재물 부착 거동 규명
포스코 2022~2023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양성 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8~2023
저탄소 사회 전환 대응한 건설용강재 및 이용기술의 친환경성 정량화연구
포스코 2021~2022
AI 전문가 양성과정
현대제철 2021
디지털 역량 내재화 교육
솔브레인 2021
사회 안전 확보를 위한 700MPa급 철근 활용 내진용 철근콘크리트 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6~2021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Digital Twin 활용 방안 컨설팅
LG에너지솔루션 2021~2022
저탄소 사회 전환 대응한 건설용강재 및 이용기술의 친환경성 정량화연구
포스코 2021~2022
H-Core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세대 건축 모듈러 시스템 AE기술 개발 기술용역
현대제철 2021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산업부 2020
고로 기반 CO2 저감형 Hybrid 제철기술 개발 - 1단계
에너지기술평가원 2021
국제표준화 선도기반 구축 통한 철강산업 국제 경쟁력 향상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6~2019
부산물 혼합 중간 철원의 모자이크 구조에 따른 동화성 연구
포스코 2016~2019
PO재 산수형 결함에 미치는 재가열 공정에서의 미량원소 표층농화의 영향도 규명
포스코 2018~2019
나노입자 크기 및 압력에 따른 합금 상태도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8~2019